[번역] ‘블랙미러’의 인터랙티브 에피소드에 영향을 준 작품들

https://www.hollywoodreporter.com/live-feed/black-mirror-bandersnatch-real-life-works-influences-1173330

‘Bandersnatch’: The Works That Inspired the ‘Black Mirror’ Interactive Feature
JANUARY 04, 2019 3:33pm PT by Rosie Knight

‘밴더스내치’: ‘블랙미러’의 인터랙티브 에피소드에 영향을 준 작품들
로지 나이트

헐리우드 리포트의 블랙미러: 밴더스내치 기사를 대충 옮겨 봤습니다. 검토 안 한 것이라서 오역 가능성 여기저기 있습니다.

captures the burgeoning gaming industry of the time, is as exciting to pick apart and explore as it is to watch.

  • 그림 설명: 게임 제작 계약을 하겠느냐는 장면에서 선택지를 고르라는 메시지가 뜬다 *

Black Mirror’s interactive sci-fi film Bandersnatch is a project literally decades in the making. Though the creative team has spoken about how the technology and narrative that brought the mind-bending experience to life has been in the works for around two years, the stories, projects, and cultural touchstones that shaped it go back almost a century and a half. It’s these kind of influences, intricacies, and references that have made Black Mirror: Bandersnatch as a whole such a dense and rewatchable experience, one that’s almost as exciting to pick apart and explore as it is to watch the show itself.

‘블랙미러’의 인터랙티브 영화 에피소드인 ‘밴더스내치’를 만드는데는 거의 10여년이 걸렸다. 제작진이 이 에피소드를 어떤 기술을 쓰고 이야기를 편성해서 황홀한 경험을 선사했는지 말한 바로는 2년 정도가 걸렸다고 했지만, 이 이야기와 기획 및 선구적인 영향을 준 요소는 거의 한 세기 하고 반 정도를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많은 작품들이 영향을 주고 복잡히 얽혀 인용이 되었기에 ‘블랙미러: 밴드스내치’는 근사하고 다시 볼만한 작품이기도 하지만 그 자체로도 역동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Bandersnatch takes its name from a terrifying creature first introduced in a nonsense rhyme from Lewis Carroll’s Through the Looking-Glass, and What Alice Found There. Alice finds herself in an inverted version of reality and discovers a mysterious poem called The Jabberwocky which can only be deciphered once she holds it up to a mirror: Beware the Jabberwock, my son! The jaws that bite, the claws that catch! Beware the Jubjub bird, and shun. The frumious Bandersnatch!

밴더스내치라는 이름은 루이스 캐롤의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서 말이 안 되는 운율로 써서 만든 소름끼치는 괴물이다. 앨리스는 실재가 뒤틀린 세상의 자신을 발견하고 재버워키(Jabberwocky)라는 시를 발견하는데 이 시는 거울에 비춰 봐야 해독이 된다: 아이야, 재버워크를 두려워하라. 턱으로 물 것이고 발톱으로 잡을 것이다! 접접새를 조심하고, 피하라. 광포한 밴더스내치가 올 지니!

Of course, the core of Bandersnatch is focused on the burgeoning gaming industry of the 1980s. Although the title comes from a moment in a classic novel which seems to be cherry-picked by Brooker to tie into the conceptual drive of his series, Bandersnatch was actually the title of a real-life video game that, despite being highly anticipated, was never released by the company who made it.

물론 ‘밴더스내치’의 줄거리는 1980년대 게임 산업계를 배경으로 벌어진다. 찰리 브루커가 자기 드라마 시리즈의 컨셉으로 선택한 이 제목은 고전 소설에서 오기는 했지만, 밴더스내치라는 이름은 실제로 있는 게임 이름으로, 화제는 되었지만 발매는 되지 않았다고 한다.

Fionn Whitehead in ‘Black Mirror: Bandersnatch’ (Inset: Charlie Brooker and Annabel Jones)
READ MORE
‘Black Mirror’ Interactive Film: Inside the 2-Year Journey of ‘Bandersnatch’

In 1982, Liverpool-based Imagine Software was riding high on the release of four popular games including the massively successful Arcadia for the ZX Spectrum, despite only being a few months old. The company’s next big play was focused on the idea of “Megagames,” which would retail for more than three times the price of an average game and focus on specialized packaging, an additional piece of hardware for your console, and around 30 extra gifts which were never really explained. (A post-credits Easter egg in Brooker’s Bandersnatch lets viewers download the “Nohzdyve” game with a ZX Spectrum emulator.)

1982년 리버풀에 있는 소프트웨어 회사는 총 네 종의 인기 게임의 출시 예정을 앞두고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출시한지 얼마 안 되었지만 인기작인 ‘Arcadia for the ZX Spectrum’이었다. 출시사는 일반 게임의 세 배 이상의 자본을 들여 판매하는 “메가게임”을 사업방향으로 결정했는데, 이 메가게임은 특별 패키지에 특화한 형태로 콘솔에 하드웨어를 더 장착하고 별도의 설명이 없는 30개의 선물을 별도로 제공하는 것이었다. (브루커의 ‘밴더스내치’의 이스터에그를 보면 시청자가 ZX Spectrum 에뮬레이터로 플레이하는 게임 Nohzdyve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했다)

Bandersnatch was one of the Megagame projects that quickly bankrupted the company and saw them go under in 1984, the year in which the Black Mirror special is set. That year is also synonymous with George Orwell’s classic novel about a draconian police state which allows its citizens no autonomy or control. This thread is reflected in Stefan’s (Fionn Whitehead) violent fear that he has no agency or power over his actions, which is completely right as the viewer is controlling him.

‘밴더스내치’에 나오는 게임은 메가게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나오고 1984년 정도에 회사가 파산하게 되는데, 이는 의도한 것이다. 이는 엄격한 국가경찰체제에서 자유를 뺏기고 사는 내용의 고전소설을 의미한다. 이는 스테판(핀 화이트헤드)가 극도로 권력기관이 자신을 통제하고 시청자가 선택권을 쥔 것에 공포를 느끼는 것과 연결된다.

Orwell isn’t the only literary influence on the surreal choose-your-own-adventure flick, as Stefan’s story centers on the mysterious sci-fi tome which gives the episode its name. Written by Jerome F. Davies, the sprawling book is the inspiration behind the game that the young programmer is working on, and the man behind it seems to reflect some of the genre’s most famed real-life creators. Though we don’t learn too much about Bandersnatch’s author, early on Colin Ritman (Will Poulter) mentions the fact that Davies “went bonkers and chopped his wife’s head off.” Stefan brushes this gruesome fact off, defending him as a genius. The trope of the tortured artist runs rife throughout pop culture, but this particular story seems reminiscent of writer William S. Burroughs who shot his wife in the head at a party during a “game of William Tell.”

오웰이 유일하게 이 초현실적인 자기-선택-모험에 영향을 준 문학은 아닌데, 스테판의 이야기에서 중요하게 나오는 미스터리한 SF 작품의 이름 자체가 그렇다. 제롬 F. 데이비스가 섰다는 소름끼치는 소설이 젊은 프로그래머한테 영감을 주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 모습은 실제 이런 종류의 사건으로 알려진 자를 반영하는 것처럼 보인다. 비록 우리는 밴더스내치의 작가에 대해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콜린 리트먼(윌 포울터)은 데이비스를 가리켜 “맛이 가서 부인의 목을 자른 작자”라고 언급한다. 스테판은 그 사실을 무시하고 천재라고 대변한다. 타인을 고문한 작가가 대중문화에 알려진 것은 관습이기도 하지만 세부적인 사항은 윌리엄 S. 버로스가 “윌리엄 텔 게임”을 하면서 부인의 머리에 총을 쏜 것을 떠올린다.

Bandersnatch director David Slade told The Hollywood Reporter that Jeff Minter, a video game designer from that period, helped inspire Colin’s character. Minter also plays Davies in a hard-to-reach scene when the Bandersnatch author visits Stefan in a dream.

‘밴더스내치’의 감독 데이비드 슬레이드는 헐리우드 리포터의 당시 게임 디자이너였던 제프 민터가 콜린의 인물화를 도와줬다고 말했다. 민터는 극중 소설 밴더스내치의 작가인 데이비스가 스테판의 꿈에 나오는 것을 연기하기도 했다.

Stefan’s descent into paranoia plays on the story of another iconic author who’s also clearly an influence on the character of Davies. Philip K. Dick wrote some of the most visionary science fiction stories of his generation, which shaped the very idea of what speculative storytelling can be. But near the end of his life he became consumed with the themes that had played such a large part in his writing.

스테판이 편집증에 빠지는 것은 명백히 데이비스의 영향이기도 하다. 필립 K. 딕은 SF소설에서 시각적으로 걸출한 작품을 내놓았는데, 지금까지도 생각할 거리가 많은 소재를 양산했다. 하지만 죽기 전의 딕은 자신이 썼던 주제에 지나치게 빠져들어 피폐해졌다.

READ MORE
‘Black Mirror’: All the ‘Bandersnatch’ Endings and How to Reach Them

From 1974-1982, Dick wrote 8,000 pages which he titled The Exegesis of Philip K. Dick, containing his experience of religion, hallucinations, delusions, and his ever more paranoid thoughts about the lack of control he had over his life and society’s perception of him. Dick also spoke of the messages which he was convinced he had been receiving from a spiritual entity, which obviously ties into Stefan’s growing fears as he begins to communicate with an otherworldly force whilst trying to hit his deadline and finish his game. Colin expounds some of this knowledge to Stefan when they embark on an acid trip, and a poster to Dick’s original book cover for his 1969 novel Ubik hangs in Colin’s apartment.

1974년부터 1982년까지 딕은 8000페이지짜리 ‘필립 K. 딕의 주해서’를 썼는데, 자신이 겪은 종교, 환상, 망상, 편집증적 상상을 담아 남의 조작에 휘둘리며 주체성을 잃는 내용이었다. 딕은 자신한테 영적 존재가 말을 건다고 했는데, 이는 마감을 끝내려는 스테판이 점점 극 바깥의 영향을 받아 선택의 여지가 없어지는 것에 공포를 느끼는 것과 직결된다. 콜린은 약을 하면서 스테판에게 몇 가지를 알려주는데, 콜린의 아파트에는 딕의 1969년 소설 “Ubik” 초본 표지 포스터가 걸려 있다.

The video game industry has always been rife with exploitative business practices, including the unfair division of and compensation for labor. Even now there’s a huge movement to unionize the industry decades after the conception and creation of the first video games. Bandersnatch is set very firmly in the Atari era of the industry, which has been written about extensively, and was clearly a huge influence on Tuckersoft, the company at the center of the story. The unfeasibly short deadlines, lack of clear conversation about pay, and unconventional working environments all seem to come directly from the burgeoning days of video games becoming an accessible home entertainment medium.

비디오 게임 산업은 수익배분이나 대가 지불 면에서 늘 착취적이었다. 처음 비디오 게임이 등장한 이래로 개발자 노조를 만드는 움직임이 이제서야 거대하게 일어나고 있다. ‘밴더스내치’는 아타리 게임 시절의 산업체제를 배경으로 하는데, 이는 극중 핵심 배경인 터커소프트라는 회사의 모습에 전반적으로 드러난다. 스테판이 게임사를 찾아간 날 마주하는 말도 안 되게 짧은 제작 마감 시간, 제대로 임금 계약을 하지 않는 모습, 비관습적인 작업환경 등은 오락산업의 모습을 보여준다.

Bandersnatch utilizes a very meta storytelling device as viewers control Stefan’s path while he tries to program a choose-your-own-adventure game. Though in the film his influence is clearly the notorious book that is his project’s namesake, in reality, the game he’s making shares similarities with a lot of the most notable releases from a games company called Sierra Entertainment. In the early ’80s the developer produced a swath of classic point and click adventure games like Wizard and the Princess, Mystery House, and Mission Asteroid. Just like the work culture of Tuckersoft, a lot of Sierra’s games were written in very short time periods, often under a month.

‘밴더스내치’는 다양한 결말의 이야기 장치를 통해 시청자가 스테판의 다음 행보를 결정하도록 유도한다. 이야기 속에는 악명 높은 책의 영향을 받아 게임을 만들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스테판이 만드는 게임은 시에라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게임과 유사성이 높다. 1980년대 초에 특정 지점에서 다음 내용을 클릭하여 넘어가는 게임들 – Wizard and the Princess, Mystery House, Mission Asteroid 등이 개발되었다. 터커소프트 회사 분위기처럼 시에라에서 출시된 게임 역시 매우 촉박한 기한, 그것도 몇 달 안에 완성해야 하는 것이었다.

And of course, Edward Packard’s CYOA book series — massively popular in the 1980 — -is an undeniable influence on Bandersnatch. These innovative novels allowed readers to influence the outcome of their story just like the Netflix special. The purpose of Black Mirror has always been to reflect a twisted picture of society back at viewers, one that has been consumed by a nostalgia economy over the past two decades. That makes Bandersnatch a fitting amalgamation of reality, fiction and warped reflection for 2019.

물론, 에드워드 패카드의 책인 CYOA 시리즈 – 1980년대 매우 큰 인기를 끌었다 – 역시 ‘밴더스내치’에 부정할 수 없는 영향을 주었다. 선구적인 형태의 이 소설은 이 넷플릭스 드라마처럼 독자가 자기가 읽는 이야기의 결말에 영향을 주도록 만들어졌다. ‘블랙미러’의 목적은 늘 시청자에게 사회 현실의 모습을 어딘가 뒤틀어서 보여주는 데 있었고, 이번 작품은 지난 20년의 향수와 산업체제를 빨아들였다. 그렇게 해서 ‘밴더스내치’는 사실과 허구, 2019년의 반영을 제대로 혼합한 작품이 된 것이다.

‘Black Mirror: Bandersnatch’ (Inset: Charlie Brooker and Annabel Jones)
READ MORE
‘Black Mirror’ Bosses Unpack the Multiple ‘Bandersnatch’ Endings
BLACK MIRROR

Rosie Knight
ROSIE KNIGHT

THRnews@thr.com
@RosieMarx ‏